2022 청년내일채움공제 조건, 중도해지, 만기, 연봉 등에 대해 알려드립니다.
2022년 청년 내일 채움 공제 신청자격 조건, 기업지원금, 신청 방법, 중도해지 시 산출법 등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. 청년 내일 채움 공제는 근로자가 매 달 12,5000원씩 2년 동안 저축을 하면 정부 및 기업의 지원을 통해 2년 만기 후, 1,200만 원을 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. 청년 내일 채움 공제 A-Z에 대해 한번 알아보겠습니다.
2022년 청년 내일 채움 공제 예산 : 1조 3천억 원
2022년 청년 내일 채움 공제 사업규모 : 신규 지원인원 7만 명
2022년 주요 변경 사항 : 기업 규모별 기업 기여금 중 기업부담금 비율 조절(아래 참고)
목차
- 청년내일채움공제 신청자격 조건
- 청년내일채움공제 제외 대상
- 청년내일채움공제 2022년 기업 부담금
- 청년내일채움공제 신청방법
- 청년내일채움공제 중도해지 시 유의사항
2023년 청년내일채움공제에 대해 알아보세요.
2023년 청년내일채움공제 신청 자격 및 신청방법은?
2023년을 맞이하면, 가장 기대되는 것 중 하나가 정부에서 지원하는 혜택입니다. 오늘은 2023년 청년내일채움공제의 신청 자격 즉 조건과 함께 신청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 시간이
commonsense000.tistory.com
청년내일채움공제 신청자격 조건
청년의 조건
1. 나이 : 만 15세에서 34세까지 청년입니다.
※ 군필자의 경우, 군 복무 기간에 따라 최대 만 39세까지 신청이 가능합니다.
2. 학력 제한 : 없음
다만, 고등학교 재학 또는 대학교/원 재학 중 정규직에 취업되었을 때, 졸업예정자만이 지원이 가능합니다.
3. 고용 보험 이력 : 정규직 취업일을 기준으로, 고용보험 가입 이력이 없거나, 고용보험 총 가입기간이 12개월 이하
※ 3개월 이하 가입 이력은, 총 가입기간에 산입 하지 않습니다.
※ 재학 중 고용 보험 가입은 제외가 됩니다.
※ 방송, 통신, 방송통신, 사이버, 학점은행제, 대학원, 야간대학은 제외
4. 신청 기간 : 반드시, 정규직 취업일로부터 6개월 이내에 청약 가입 신청이 완료되어야 합니다.
기업의 조건
1. 5인 이상의 중소 및 중견 기업
- 신청자(청년)의 채용일 기준, 고용보험 피보험자가 5인 이상이어야 합니다.
※ 지식서비스산업, 문화콘텐츠산업, 벤처 기업 등은 예외적으로 5인 이하 기업이더라도 적용 가능합니다.
※ 중견기업은 3년 평균 매출액이 3천억 원 미만 시 가입 가능
※ 비영리 기업 및 소비향락업 등의 일부 업종은 제외가 됩니다.
-신청자(청년)가 다니는 기업이 청년 내일 채움 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기업인지 알고 싶다면 : ☏ 1350(고용노동부)
청년내일채움공제 제외 대상
1. 급여 : 월 급여총액이 300만 원을 초과하면 대상에서 제외됩니다.
- (청년내일채움공제 가입 전) 기본급, 각종 제수당, 월평균 상여금과 고정 연장·야간·휴일근로수당을 포함
- (청년내일채움공제 가입 후) 기본급, 각종 제수당, 월 평균 상여금과 고정 및 변동 지급된 연장·야간·휴일근로수당 및 기타 고정·변동 성과급을 모두 포함합니다.
- 급여 요건은 정규직 입사일(전환일)로부터 1년간 요건 유지하여야 하며, 정규직 입사일(전환일)로부터 1년간 지급총액이 3,600만 원 초과 인자는 제외가 됩니다.
2. 소정 근로시간이 주 30시간 미만인자 또한 대상에서 제외가 됩니다.
3. 재택 근무자 : 코로나로 인한 일시적 또는 유연근무로 재택근무는 가능하지만, 기본 근무형태를 재택근무로 변경하는 경우 중도 해지될 수 있습니다.
4. 2022년 직접 일자리 사원 중앙부처-자치단체 합동지침에 따른 재정지원 직접 일자리사업과 지원 기간이 중복되는 자
- 청년 공제와 지원대상, 목적, 지원방식 등이 유사한 자산형성사업*에참여 중인 자 또는 2018년 이후 참여하여 지원금을 수령한 자
- 서울시의 ‘희망 두배 청년 통장’, 보건복지부의 ‘청년(내일)저축계좌’ 및 ‘청년희망 키움통장’, 경기도의 ‘일하는 청년통장’ 시리즈 등 각종 통장사업
- 단, 반환․철회 등으로 실제 국가나 자치단체로부터의 지원금 수령한 금액이 없게 된 자는 가입 가능
2022년 기업의 규모에 따른 청년내일채움공제지원 금액
기업 규모별 기업 기여금 중 기업부담금 비율 조정
o 기업규모 30인 미만 : 기업 지원 비율 0% 정부 지원 비율 100%
o 기업규모 30 ~ 49인 : 기업 지원 비율 20% 정부 지원 비율 80%
o 기업규모 50 ~ 199인 : 기업 지원 비율 50% 정부 지원 비율 50%
o 기업규모 200인 이상 : 기업 지원 비율 100% 정부 지원 비율 0%
청년, 기업, 정부가 2년간 공동으로 적립하는 거기 때문에 기업과 꼭 상의가 되어야 합니다.
기업규모 기업 부담금(매월 125,000원 기준) 기업 지원금(6개월 단위 적립) 총합계 비율 금액 비율 금액
기업 규모 | 기업 부담금 (매월 청년이 125,000원 저축 시) |
기업 지원금(정부 지원) (6개월 단위로 적립) |
총 합계 | ||
비율 | 금액 | 비율 | 금액 | ||
30인 미만 | 0% | 0원 | 100% | 750,000원 | 3,000,000원 |
30~49인 | 20% | 25,000원 | 80% | 600,000원 | |
50~199인 | 50% | 62,500원 | 50% | 375,000원 | |
200인 이상 | 100% | 125,000원 | 0% | 0원 |
근로자가 월 12,5000원씩 24개월 납입했을 경우 1200만 원이 만들어지는 과정.
만기공제금 | 본인적립 | 기업기여금* | 정부지원금 |
1,200만원 | 300만원 | 300만원 | 600만원 |
- 근로자 12,5000원 24개월 납입 = 300만 원
- 정부 지원금 24개월 납입 금액 = 600만 원
- 기업 부담금 및 기업 지원금 = 300만 원
- 합계 총 = 1200만 원
자세한 사항은 아래 사진을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.
청년내일채움공제 신청 방법
https://www.work.go.kr/youngtomorrow/index.do
청년내일채움공제
청년내일채움공제 참여!! 청년은 장기근속과 목돈마련의 기회를, 중소기업은 우수인재 확보와 고용유지의 기회가 됩니다. 사업소개 바로가기
www.work.go.kr
(선 기업, 후 청년 신청)
첫째, 위 사이트를 클릭하여 기업에서 먼저 회원가입 후, 기업 로그인을 통해, 신청을 하시면 됩니다.
(통상 10 영업일 내 결과가 나옵니다)
둘째, 기업이 승인을 받게 된다면, 청년이 위 사이트에서 개인 로그인을 통해, 신청을 하시면 됩니다.
이후 아래 <청년, 기업의 가입절차를 보시고 따라서 하시면 되겠습니다.>
청년내일채움공제 중도해지 시 유의사항
청년내일채움공제 중도해지 시 환급금(가입기간 별)
청년내일채움공제 중도해지 시, 중요한 건 청년 귀책인지, 기업 귀책인지입니다. 이에 따라 청년이 받을 수 있는 혜택이 매우 달라지는데요. 아래 표는 가입기간별 중도 해지 시 환급금입니다.
기업 귀책사유(청년 내일 채움 공제 중도해지 시)
청년 귀책사유(청년내일채움공제중도해지 시)
* 부정수급에 의한 중도해지 시 거짓 기타 부정의 방법으로 적립된 취업지원금, 기업지원금을 전액 정부 환수(단, 실시기업 귀책 부정수급 중 가입 청년의 관여가 없는 것이 명백한 경우라면 청년에게 해당 기간 중도해지환급금을 지급)
오늘은 2022년 청년 내일 채움 공제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 중도해지 시 귀책사유에 따라 혜택이 달라집니다. 청년내일채움공제 혜택 놓치지 말고 꼭 받으시길 바라겠습니다. 감사합니다.
'2023년 최신 정보 > 지난 자료(2022년 이하 버전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청년도약계좌 가입 조건, 신청기간은? (청년희망적금과 비교) (1) | 2022.03.13 |
---|---|
2022 근로장려금 신청대상 , 신청요건, 모의계산 안내 (0) | 2022.03.08 |
2022년 육아휴직 신청방법, 조건 및 서류 안내(3+3육아휴직제 포함) (0) | 2022.02.18 |
2022년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신청 방법 및 대상, 혜택 안내 (0) | 2022.02.15 |
2022 SQLD, SQLP 자격증 시험 일정 및 응시 조건에 대해 알아보자. (0) | 2022.02.11 |
댓글